인터넷 창에 www.google.com를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?
인터넷 창에 www.google.com를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?
인터넷 창에 www.google.com를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설명해주세요 !
1. DNS 조회 (도메인 이름 → IP 주소)
- 사람이 기억하기 좋은 주소 :
www.google.com
- 컴퓨터가 이해하는 주소 :
142.250.206.36
(IP 주소)
사용자가 www.google.com을 입력하면, 브라우저는 먼저 이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야 합니다. 이 과정을 DNS 조회(DNS Lookup)라고 합니다. 브라우저는 캐시된 DNS 기록을 먼저 확인하고, 없으면 로컬 DNS 서버에 요청하여 www.google.com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얻습니다.
캐시를 확인하는 순서
- 브라우저 캐시
- 운영체제 캐시
- 로컬 DNS 서버 (인터넷 제공업체 ISP가 제공)
2. TCP 연결 (3-Way Handshake)
IP 주소를 알았다면, 이제 서버와 통신할 연결을 만들어야 합니다.
TCP는 신뢰성 있는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“3-Way Handshake”라는 과정을 거칩니다.
- 브라우저 → 서버 :
SYN
패킷 전송 - 서버 → 브라우저 :
SYN + ACK
패킷 응답 - 브라우저 → 서버 :
ACK
전송
이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준비가 끝났습니다.
3. HTTP 요청
요즘 대부분 사이트는 https://
를 사용합니다.
이 경우 TCP 연결 뒤에 보안 연결(SSL/TLS Handshake) 이 추가됩니다.
- 서버가 인증서를 브라우저에게 전달
- 브라우저가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
- 서로 암호화 키를 교환 → 이후의 모든 통신은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진행됩니다.
4. HTTP 요청 & 서버 응답
- 연결이 준비되면 브라우저가 HTTP 요청을 보냅니다.
1
2
GET / HTTP/1.1
Host: www.google.com
GET
→ “자료를 가져오겠다”는 뜻/
→ “홈페이지(루트 주소)”Host: www.google.com
→ “구글 서버야, 네 홈페이지 달라”
- 서버가 답장을 보냄 (응답)
- 서버는 요청을 확인하고, 필요한 파일을 전달합니다.
- 이때 같이 보내는 정보가 HTTP 응답입니다.
1
2
HTTP/1.1 200 OK
Content-Type: text/html
- 200 OK → “정상적으로 보내줄게”
- 그 뒤에 HTML, CSS, JS, 이미지 같은 웹페이지 재료를 같이 전송
1
2
3
4
3줄 정리
- 브라우저: “안녕하세요! www.google.com 홈페이지 좀 보여주세요” (요청)
- 서버: “네, 여기 있습니다! (200 OK) → HTML 문서 + 이미지 + 스타일 파일 전달” (응답)
- 브라우저: “오케이, 받은 걸로 화면 그려볼게요!” → 렌더링 시작
5.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
이제 브라우저가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줍니다.
- HTML 파싱 → DOM 트리 생성
- CSS 파싱 → CSSOM 트리 생성
- DOM + CSSOM → 렌더 트리 구성
- 레이아웃 계산 (위치, 크기 정하기)
- 페인트 & 합성 → 화면 출력
정리
- DNS 조회 → IP 주소 확인
- TCP 연결 (3-Way Handshake)
- (HTTPS라면) SSL/TLS 암호화 연결
- HTTP 요청 & 서버 응답
- 브라우저 렌더링 → 화면에 페이지 표시
END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